연금저축펀드, ETF 자동 매수 방법 알아봅시다.
연금저축과 IRP 계좌 활용으로 연말 세액공제와 장기 투자를 동시에! ETF 자동 매수로 꾸준히 자산을 키워보세요. 세금 혜택과 연금 부자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.
연금 저축의 필요성과 활용
- 문제 인식: 많은 사람들이 연금저축 펀드와 IRP 계좌를 잘 모르거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.
- 시작 목적: 대부분은 연말 영산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연금저축을 시작한다.
- 정보 부족: 납부한 금액이 어떻게 운용되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.
- 세금 혜택: 세금 혜택이 크지만, 운용 수익이 더 크다.
ETF 자동 매수의 중요성
- 투자 방법: 연금저축 펀드 계좌에서 매월 적립식으로 ETF에 투자하는 방법을 설명할 예정이다.
- 장기 투자: 장기 투자를 위해서는 무지성 매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.
- 자동 매수 설정: 지정한 날짜에 자동으로 매수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.
- 투자 전략: 오르든 내리든 매수하는 것이 장기 투자에 유리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.
IRP 계좌의 ETF 매매
- IRP 계좌 장점: IRP 계좌에서는 ETF 매매 수수료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.
- 자동 매수 기능 부족: 현재 IRP 계좌에서는 ETF 자동 매수 기능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.
- 수동 매수 필요: 매월 수동으로 특정 종목을 매수해야 하며, 이는 장기 투자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.
- 욕심 경계: "이번 달에 너무 올랐으니까 다음에 내리면 사야지"와 같은 욕심이 장기 투자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.
자동 매수 설정 방법
- 증권사 어플: 각 증권사마다 어플이 다르므로, 사용 중인 미래에셋 기준으로 설명.
- 메뉴 접근: 하단의 세 줄짜리 메뉴를 클릭하고, 상단의 연금 메뉴를 선택하여 연금 적립식 장바구니 신청을 진행한다.
- 약관 동의: 약관 동의 후 개인 연금 리츠 등록 여부를 묻는 질문이 나온다.
- 등록 완료: 등록이 완료되면 매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.
종목 선택 및 투자 전략
- 종목 추가: 종목 추가 버튼을 눌러 원하는 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.
- 종목 수 제한: 최대 10개까지 선택 가능하며, 종목 수를 너무 많이 선정하면 자투리 금액이 발생할 수 있다.
- 투자 금액 조정: 예를 들어, 월 20만 원을 4개 종목에 나누어 투자하면 각 종목당 매수 금액이 적어질 수 있다.
- 자투리 금액 관리: 자투리 금액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목 수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
세액 공제와 투자 전략
- 세액공제 한도: 연금저축 펀드에서 최대로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연 600만 원이다.
- 자동 이체 설정: 월 50만 원씩 자동 이체를 가정하고, 각 종목에 매수 금액을 설정한다.
- 종목 선정 자유: 종목 선정과 금액 입력은 개인의 판단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.
- 운용 유연성: 운용 중 종목 추가, 삭제, 금액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.
장기 투자와 종목 관리
- 종목 관리 방법: 종목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, 금액 조정도 가능하다.
- 국내 주식형 ETF: 국내 주식형 ETF는 연금 계좌에서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다.
- 세금 문제: 국내 주식형 상품은 연금 소득세를 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불리하다.
- 미국 주식 선호: 미국 주식이 더 선진화되어 있고, 주주 친화적인 기업들이 많다.
미성년 자녀를 위한 투자 방법
- 자녀 투자 방법: 미성년 자녀에게는 S&P 500 TR 한 종목만 매월 자동 매수하는 것이 좋다.
- 증여 방법: 자녀의 연금저축 펀드 계좌에 직접 자동 이체하여 장기 투자하게 하는 방법.
- 증여 금액: 한꺼번에 2천만 원을 증여하는 방법과 매월 20만 원씩 10년간 증여하는 방법이 있다.
- 세액공제 혜택: 자녀가 취업하면 납부한 원금에 대해 소급하여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.
연금 부자되기 위한 방법
- 장기 투자 강조: 연금 계좌에서 장기 투자하여 연금 부자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.